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기차 충전비용 절약방법

by demogran= 2022. 12. 23.
반응형

전기차 충전비용에 대한 특례 할인이 종료되었습니다. 물론 현재에도 내연차에 비해서 저렴하지만 그래도 더 저렴하게 충전하는 꿀팁들이 있습니다. 어느 곳에서 어떤 시간에 어떤 방식으로 충전하느냐에 따라 비용차이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늘은 전기차의 충전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급속충전보다는 완속충전 이용

전기차 충전은 크게 급속충전과 완속충전으로 나뉩니다. 그리고 완속충전은 공용충전기, 비공용충전기, 이동식 충전기로 나뉩니다. 충전비용을 아끼기 위해서 급속보다는 완속충전으로, 그리고 완속충전 중에서는 각자의 상황에 따라 가장 저렴한 방식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 급속충전

  1. 충전시간 : 약 40분 (80% 충전)

  2. 충전료 : 대략 350원/kWh (유류에서 L와 같은 단위)

  3. 설치장소 : 공공기관이나 고속도로, 공영주차장 등

  4. 운영기관 : 대부분 환경부

▶ 완속충전 - 공용충전기

  1. 충전시간 : 약 8~10시간 (100% 충전)

  2. 충전료 : 대략 150원/kWh ~ 300원/kWh (운영기관 및 충전시간대에 따라 다양)

  3. 설치장소 : 공동주택, 사업자 등 

  4. 운영기관 : 한국전력, 기타 민간사업자(약 25개 업체)

▶ 완속충전 - 비공용충전기

  1. 충전시간 : 약 8~10시간 (100% 충전)

  2. 충전료 : 대략 65원/kWh ~ 240원/kWh (기본요금 16,730원/월 별도, 충전시간대에 따라 다양)

  3. 설치장소 : 단독주택 등 개인이 사적으로 설치

  4. 별도비용 : 직접설치 시 설치비 약 50만 원, 업체설치 시 설치비 약 200만 원

▶ 완속충전 - 이동형 충전기

  1. 충전시간 : 약 20 ~ 30시간 (100% 충전)

  2. 충전료 : 대략 65원/kWh ~ 240원/kWh (충전기의 브랜드마다 기본요금 차이 있음, 충전시간대에 따라 다양)

  3. 설치장소 : 브랜드마다 다름 (일반 220V 콘센트에서 가능 or RFID태그 발급된 지정된 콘센트에서 가능)

  4. 별도비용 : 충전기 구매비용 약 60만 원

 

 

 

 

경부하시간대에 충전하기

한전에서 부과하는 전기차 충전요금은 시간대별로 다르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월과 시간대를 기준으로 경부하, 중간부하, 최대부하시간으로 나눈 다음 경부하시간은 가장 저렴하고, 최대부하시간은 가장 비싸게 비용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경부하시간(보통 새벽시간)을 이용한다면 가장 저렴하게 충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운영업체에 따라 시간대 상관없이 동일금액으로 운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한전의 계절별, 시간대별 완속충전요금

한전의 계절별, 시간대별 완속충전요금입니다.
한전의 완속충전료

▶ 적용구간별 시간대 구분

시간대, 월별 적용구간표입니다.
월별, 시간대별 적용구간

 

 

환경부카드 + 회원카드 이용하여 할인된 금액으로 충전

국내의 완속충전(공용충전기)은 언급한 대로 약 25개의 업체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크게 환경부와 민간 사업자로 나뉘는데 주요 업체들 대부분 자체적으로 회원카드를 발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25개의 카드를 모두 만드는 일은 너무 비효율적이고 환경부카드 + 주로 충전하는 곳의 회원카드 정도로 해서 2~3장 정도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 환경부 카드

환경부카드는 어느 정도 적당한 가격으로 타 사업자의 충전소까지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만들어야 됩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 업체가 자체회원에게는 100원/kWh로, 환경부카드회원에게는 130원/kWh로, 비회원에게는 150원/kWh 식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 사업체카드

사업체카드는 주로 충전하는 아파트, 사업장, 마트 등의 충전기 회원카드로 발급받으면 됩니다.

 

 

할인되는 결제카드 사용 및 구독형 요금제 이용

앞서 언급한 카드는 회원카드이며, 결제를 위해서는 결제카드를 등록해야 됩니다. 결제카드는 다들 아시는 카드사의 체크카드, 신용카드 등으로 등록하시면 되는데, 이 경우에도 추가할인을 제공하는 제휴카드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휴카드로는 삼성 iD EV카드, 신한 EV카드가 있습니다.

▶ 삼성 iD EV카드 VS 신한 EV카드

아래의 표와 같이 할인율은 삼성 iD EV 카드가 높습니다. 하지만 삼성 iD EV카드는 관리비와 공과금 등 실적에서 제외되어 실적을 채우는 데는 신한 EV 카드보다 어렵습니다. 세부항목은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확인, 비교하시면 되고, 기본적인 항목은 아래와 같이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삼성 iD EV 카드와 신한 EV 카드를 간단하게 비교한 표입니다.
삼성EV 카드와 신한EV 카드 비교

▶ 구독형 요금제

최근에는 매달 구독요금을 내면 약정된 한도 내에서 충전요금을 할인해주는 요금제도 나왔습니다. 에스트래픽의 SS차저 '럭키패스', 대영채비의 '채비패스' 등이 그러한 구독형 요금제입니다. 이것도 개인의 상황에 맞게 계산하시어 선택하시면 됩니다.

 

 

 

 

무료 충전소 이용하기

▶ 시범운용 기기 활용

설치 후 일정기간 시범으로 무료운영하는 곳들이 있습니다. 

▶ 마트나 백화점 등 중에서 무료 충전기 이용

무료 충전을 제공하는 대형마트 등이 있는데, 해당 충전소를 활용하면 됩니다.

 

 

경제적인 운전습관 들이기, 꾸준한 차량관리를 통한 차량의 효율 높이기

▶ 회생제동 활용

  1. 개념 : 주행 중인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돌아오게 하여 배터리의 전기를 충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2. 승차감이 조금 떨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자동차의 연비를 상승시키고 브레이크패드 등의 소모품의 수명도 늘려줍니다. 

▶ 배터리 히트펌프 시스템 활용

  1. 개념 : 차량 동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해 난방에 활용하는 등 전기 소모를 줄여 주행거리를 늘려주는 열관리 시스템입니다.

  2.  과거에는 옵션인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최근 전기차는 기본 사항으로 적용돼 있을 만큼 보편화됐습니다.

▶ 히터 대신 시트열선을 사용

▶ 차량 내부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

▶ 급과속, 급감속 등이 없이 일정속도 유지

▶ 공조기는 내부순환기능을 사용

▶ 배터리는 주변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지하주차장 등 실내에 주차

▶ 배터리의 충전은 20%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지양하고 되도록 완속충전

 

 

 

 

전기차 세금, 보조금 혜택과 잔여보조금 현황

환경 문제가 심해지면서 각 나라의 정부들이 전기차 보급을 위해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오늘은 전기차와 관련하여 세제혜택, 보조금 혜택, 그리고 현재 지자체 보조금의 잔여현황

teo-issues.tistory.com

 

 

전기차 충전비용, 환경부 충전카드 발급

2022년 9월 1일부터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할인 혜택이 종료되었습니다. 혜택 종료 이후의 전기차 충전비용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그 외 환경부 충전카드 발급, 그리고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teo-issues.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