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2E, 만보기 앱테크 추천

by demogran= 2022. 11. 6.
반응형

22년 초 M2E(Move To Earn)와 관련된 프로젝트들이 코인 시장과 NFT시장을 이끌었습니다. 저 역시 스테픈이라는 글로벌 프로젝트를 통해 M2E 프로젝트에 입문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그냥 건강을 목적으로 열심히 걷고 있는 상황입니다.. 스테픈에서 데인 이후로 초기 자본이 적게 들거나 들어가지 않는 프로젝트들을 동시에 진행 중이며, 들어가지 않는 프로젝트들 위주로 제가 하고 있는, 그리고 추가로 조사한 어플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M2E 및 만보기 어플 종류

 

1. SWEAT COIN / 현시세 기준 한 달 4500원

초기에는 약 1000보에 1개의 sweatcoin을 주고 최대 5000보, 5개의 코인 획득이 가능합니다. 현시세 약 30원 수준으로 4500원/월 수익이 가능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1개의 코인을 얻기 위한 걸음수의 기준이 높아지고, 코인을 현금화하는 방법 외에도 어플 내에서 특정 제품을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2. 캐시 워크 / 한 달 3000원

꽤 오래되었고 많이 알려진 만보기 어플입니다. 1000보에 10원으로 하루 1만 보, 3000원/월 수익이 가능합니다. 저녁마다 클릭을 해줘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3. 캐시타임 / 한 달 2100원

캐시 워크와 유사한 방식이며, 저녁마다 클릭을 해줘야 됩니다. 캐시 교환 버튼 클릭 시에는 광고가 뜹니다.

4. 메디패스 / 한 달 5500원

원래의 기능은 건강관리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취급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인데 걸음을 걸으면 자체 코인(메디블록 코인)을 줍니다. 1만 보를 걸으면 6 코인을 주고, 출석체크를 하면 1 코인, 미션을 수행하면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보통 출석체크+하루 1만 보로 7 코인씩 얻고 있고, 현재 코인의 시세는 약 26원입니다. 코인은 200 코인을 모은 뒤부터 현금화가 가능합니다.

5. SNKRZ(스니커즈) / 앱 내 상품 응모

유료 모드와 무료 모드가 있으며, 무료 모드로 걷게 되면 포인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포인트는 현금화가 가능하진 않지만, 앱 내에서 래플시스템으로 상품에 응모하는데 쓰입니다. 1주일에 1~2가지 상품들이 올라오며 나이키 신발, 아이폰 등 다양합니다.

6. SUPERWLAK 

4번의 스니커즈와 동일하게 유료모드와 무료 모드가 있으며, 무료 모드는 코인 시세도 현재 낮고 수량도 적어 한 달 1000원 수준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무료 모드의 활성화를 위해 광고 연계, 래플시스템 적용 등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있어 추후에는 조금 더 나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7. 기타

토스만보기 - 하루 최대 1만 보+주변 장소 방문으로 140원을 벌 수 있고, 4200원/월 수익이 가능합니다.

모니모 - 하루 최대 5000보, 젤리 1개로 3000원/월 수익이 가능합니다.

WALKEN - 앱 내에서 캐릭터를 키워 다른 유저와 경쟁하여 코인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레벨 6 이상을 달성해야 소액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듯한데, 6까지 달성하는데 시간이 너무 소요됩니다.

AGLET - M2E 프로젝트로 굉장히 완성도 있는 어플과 UI를 보유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수익화가 쉽지 않은 단계인 듯합니다.

 

 

 

반응형

댓글